
히스테리는 라캉이 담론으로 승격시킨 유일한 증상이다. 정신분석의 탄생과 발전에 기여했으며, 담론의 구조 자체가 진정한 과학과 동일한 형식을 갖는다는 그의 혁신적인 결론은 많은 깨달음을 더해준다. 특히 필자의 경우 최근 읽었던 책들을 통해 좋은 사례와 연결지을 수 있어 한결 값진 시간이었다.
목차
1. 담론의 정의
2. 담론의 구조와 구성 요소들
3. 네 가지 담론
3.1. 주인 담론
3.2. 대학 담론
3.3. 히스테리 담론
과학과 히스테리와의 관계
3.4. 분석가 담론
4. 히스테리 담론에 머물 수 있길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같은 글이 중복 게시되면 문제가 될 수 있어 원글을 링크로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부탁 드리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고맙습니다.
히스테리 담론의 특별한 의미,『라캉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들』, 브루스 핑크 편 - ReaDelight
오늘은 브루스 핑크 편, <2장. 주인 기표와 네 담론>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1장 관련 글 참고, ① 주이상스 개념의 변화 과정, ② 주이상스와 4가지 증상과의 관계) 항상 느끼는 거지
readelight.com
'인문학 > 라캉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 라캉의 욕망 비교,『라깡 세미나 · 에크리 독해 1』, 조엘 도르 (2) | 2020.10.01 |
---|---|
변증법과 반변증법으로 주체화 설명하기, 『라깡 세미나 에크리 독해 1』, 조엘 도르 (2) | 2020.08.26 |
주이상스와 증상과의 관계,『라캉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들』, 딜런 에번스 (2) | 2020.08.12 |
라캉의 주이상스(향락) 개념 변천사,『라캉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들』 (0) | 2020.08.07 |
주체와 자아의 차이, L도식『라깡 세미나 · 에크리 독해 1』, 조엘 도르 (2) | 2020.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