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와 정신분석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출발한 저자의 '성장심리학'.
문제(증상)가 아닌 더 좋은 대안(건강한 성장)에 집중하자는 그의 출발점에 공감이 되긴 했지만, 한편으로 아쉬운 부분도 있어 책 정리에 앞서 관련된 생각을 개인적인 경험과 더불어 먼저 남기고 싶었다.
목차
1. 정신분석이 개인적으로 특별한 이유
2. 성장심리학의 문제인식에 대하여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동일한 글이 중복 게시되면 문제가 될 수 있어 원 글은 링크로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이 부분 양해 말씀 드리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고맙습니다. :)
① 성장심리학의 정신분석 비판에 대한 반박, 『성장심리학 - 건강한 성격의 모형』, 듀에인 슐
정신분석과 기독교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서론이 좀 길어졌는데, 여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필자의 경우 심리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이상향을 찾아나서는데 정신분석의 도움을 결정
readelight.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