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3 ① 주체가 될 수 있는 철학적 방법,『알랭 바디우, 공산주의 복원을 말하다』, 알랭 바디우, 페터 엥겔만의 대담 알랭 바디우의 주체 개념에 대하여 잠시 생각해 봤다. 철학에서 은총 (저자가 '사건'이라고 언급하는) 을 상상하는게 과연 가능한 일일까? 그것도 무신론자가 말이다. 『사도 바울』 이후 다시 접하게 된 그의 주체 개념은 확실히 특별한 부분이 있었다. 당시에는 그저 바울적 주체의 특수성을 분석한 글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오히려 반대로 그의 주체 개념에 가장 잘 부합했기 때문에 선택된 것이었다. 그렇게 뜻하지 않게 그의 주체 개념을 마주할 수 있었던 건 내게 하나의 작은 사건으로 다가왔다. 목차 1. 주체성에 대한 배움의 과정들 1.1. 이념을 가진 존재 1.2. 자율성의 주체 1.3. 변증법적 / 반변증법적 주체 2. 바디우의 주체 개념 2.1. 바디우 주체 개념에 영향을 준 인물들 2.2. 진리와 사건 2.. 2020. 9. 1. [42개월] 기다림으로 함께 극복한 아이의 습관 사실 '기다림'은 나와는 잘 맞지 않는 단어다. 하지만 삶에 대해 너무도 많은 이해가 필요한 아이에게 있어서 부모의 기다림은 어쩌면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닐까? '자율'이라는 개념이 불과 300년 전에야 비로소 확립될 수 있었듯, 아이가 자신의 삶을 온전히 드러내려면 앞으로도 수많은 어려움들을 헤쳐나가야 할 것이다. 그렇게 각각의 경험들이 '친절한 엄격함'으로, '최적의 좌절'로 경험되면서 자존감이 꺾이지 않는 건강한 이타성으로 자리잡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기록을 남기고 싶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검색에 문제가 될 수 있어 본문 내용은 링크로 첨부드리니, 번거로우시겠지만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readelight.com/blog/pare.. 2020. 5. 25. 『개인』우리가 누리는 자유가 소중한 이유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개인의 자유’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시간. 한편으로 이런 책들을 읽으면서 번번히 놀라는 것은 자신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에 대한 서구 학자들의 집요함이었다. 이런 분들의 글을 읽고 곱씹으며 정리하는 시간은 그런 점에서 늘 힘들었지만 그만큼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목차 1. '자유'의 역사 2. 근대 '개인'의 탄생 3. 근대 개인에 대한 오해 4. 진정한 주체성 4.1. 라이프니츠의 의의 4.2. 토크빌의 신중한 주체 이해 4.3. 진정한 주체성 5. 개인의 역사가 말해주는 것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검색에 문제가 될 수 있어 본문 내용은 링크로 첨부드리니, 번거로우시겠지만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reade.. 2020. 5.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