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단계3 주체와 자아의 차이, L도식『라깡 세미나 · 에크리 독해 1』, 조엘 도르 아버지를 통한 상징계의 진입으로 분명 주체는 탄생했지만, 인식의 한계로 우리는 다시 한 번 발목을 잡히고 만다. 라캉의 L도식은 이상도 자신의 정체성도 잃어버린채 방황하는 주체를 보여주는 증상의 민낯과도 같은 것이다. 그의 정신분석의 의미를 오늘날 어떻게 회복시킬 수 있을까? 목차 1. 자아란 무엇일까? 2. 타자를 통해 형성되는 자아 3. L도식, 상호주체적 변증법 4. 소외된 주체의 회복 『라깡 세미나 에크리 독해 1』 관련 이전 글들 1. 무의식을 구조화한 라깡 이론의 형성 배경 2. 팔루스와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3. 아버지의 은유로 살펴본 가부장제의 의미 4. 라캉의 거울단계,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간단히 살펴보기 5. 라캉적 분열의 의미와 공포증 사례 분석 6. 언어적 주체와 고정점 (누빔점) 7.. 2020. 7. 27. 라캉의 거울단계,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간단히 살펴보기, 『라깡 세미나 · 에크리 독해 1』, 조엘 도르 반 년 가량 덮어두고 있던 라캉 입문서를 다시 한 번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전에 작성했던 글들이 잘 기억나지 않기도 했고 (더 잘 기억하기 위해 쓰는 건데 이마저도 참 쉽지 않다..; ), 이를 보완하기 위해 표로 정리할 필요성도 늘 느껴왔던 터였다. 그렇게 이번 글에서는 정신 구조를 설명하는 라캉의 핵심 개념들이라고 할 수 있는 거울 단계와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를 요약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평소 라캉 이론이 궁금하셨던 분들께 작게나마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좋겠다. :) 목차 1. 거울단계 2.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같은 글이 중복 게시되면 문제가 될 수 있어 원글을 링크로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부탁 드리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 2020. 7. 3. 팔루스와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라깡 세미나·에크리 독해I』, 조엘 도르 정신분석은 신화를 출발점으로 삼은 학문이다. 종교적 차원에서가 아니라 환자들의 내면의 진실이 이를 한결같이 증언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의 내면을 붙잡아 줄 신화를 갈망하는 것은 욕망과 연결되어 있다. 우리의 삶을 추동시키는 욕망의 근원점, 개인의 신화는 철저히 개별적인 것이었지만 그것은 오이디푸스라고 하는 하나의 신화에 은유적으로 통합되어 보편적으로 질서지어질 수 있었다. (이를 고도화시킨 것이 라깡의 결정적인 공헌이다.) 정신분석이 철저히 과학적 방법론을 추구하면서도 한편으로 과학의 대척점에서 내면의 진실을 위해 싸우는 이유는 인간이 끝없이 삶의 이유를 묻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목차 1. 팔루스의 우위 2. 거울 단계 3.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4. 대상의 결여 5. 두 번째 공유를 마치며 제 블로그.. 2020. 5.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