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락5 주체적인 행복을 위한 신체의 의미, 『자끄 라깡 정신분석 임상』 나지오 박사의 다섯 번째 강의에서는 '신체'를 다룬다. 이전 강의에서 인간의 욕망이 어떻게 신체적 특성에서 비롯되는지 - 돌출했거나, 움푹 들어간 부위들이 욕구를 자극해 대상 a 의 중요한 참조점이 된다는 것 - 에 대해 설명했다면, 이번 장에서는 보다 이론적인 관점에서 신체를 바라본다. 목차 1. 정신분석에서 신체의 의미 2. 신체에 대한 위상학적 관점 2.1. 실재로써의 신체 (성) 2.2. 상징으로써의 신체 (말 건넴) 2.3. 상상으로써의 신체 (이미지) 3. 부분에 특권을 부여하는 정신분석 4. 분석가의 역할 4.1. 정신분석에서 이론의 중요성 4.2. 분석가의 역할 5. 주체적 행복을 위하여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검색에 문제가 될 수 있어 본문 내용은 링크로 첨부 드리니, 번거로우시겠지만.. 2022. 9. 23. 라캉의 환상을 통해 본 나의 환상,『자끄 라깡 핵심이론과 임상』 한동안 마음이 참 많이 무거웠다. 물론 지금도 크게 다르진 않지만 때마침 마주한 환상 강의를 통해, 그리고 글쓰기를 통해 나의 내면을 조금 더 깊이 알 수 있어 매우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1. 환상의 원인, 대상 a 1.1. 대상 a 로의 접근 방법 1.2. 정신분석과 다른 관계와의 차이 1.2.1. 정신치료와의 차이 - 전이 1.2.2. 사회적 유대관계와의 차이 - 무의식과 향락에 대한 이해 2. 환상 ($◇a) 의 개념 2.1. 임상에서의 환상 2.2. 환상을 분별하는 방법 3. 향락의 장소로서의 신체 3.1. 향락과 쾌락의 차이 3.2. 신경증과 도착증 4. 나의 환상을 마주하며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동일한 글이 여러 곳에 게시되면 문제가 될 수 있어 원글은 링크로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2022. 7. 28. 대상 a 와 지식의 의미,『자끄 라깡 핵심이론과 임상』 우리의 삶을 추동하는 원인, 라캉이 대상 a 라고 이름 붙인 욕망의 대상에 대한 고찰은, 나와 타인을 이해하는데 의미있는 통찰을 더해준다. 목차 1. 대상 a는 무엇일까? 1.1. 대상 a 의 타자는 누구일까? 1.2. 대상 a 의 형식적 지위 (무의식의 구조) 1.3. 대상 a 의 신체적 지위 1.4. 불만족의 서로 다른 이름 - 욕구, 요구, 욕망 2. 정신분석가와 대상 a 2.1. 분석가의 역할 2.2. 라캉 정신분석의 목표 2.3. 분석가 담론의 의미 3. 나의 대상 a, 온전한 사랑을 위해 지식이 필요한 이유 대상 a는 무엇일까? 1. 대상 a 는 과도한 행위로 드러나는 잉여향락으로, 발생 원인을 알 수 없는 욕망의 대상-원인이다. 2. 무의식은 구조적으로 ① 기표사슬과 ② 이를 움직이게 만드는.. 2022. 5. 13. 증상이 나타내는 무의식과 향락, 『자끄 라깡 핵심이론과 임상』 내면의 진실이 감춰져 있다는 점을 밝혀낸 무의식, 그리고 그 진실을 결코 정의내릴 수 없음을 인정한 향락. 이 두 개념을 정신분석의 근본 원리라고 소개한 저자는 특유의 친절함으로 라캉 정신분석의 면면을 간명하게 설명한다. 목차 1. 증상이란 무엇일까? 1.1. 증상의 특징과 전이와의 관계 1.2. 증상에 접근하는 두 가지 방법, 기호와 시니피앙 2.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화 된 (반복의) 지식이다 3. 성적인 관계라는 것은 없다 (향락) 3.1. 프로이트의 정신 에너지 3.2. 정신 에너지와 향락과의 관계 3.3. 당신의 욕망을 포기하지 말라 3.4. 쾌락과 향락의 차이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동일한 글이 여러 곳에 게시되면 문제가 될 수 있어 원글은 링크로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이 부분 양.. 2022. 1. 5. 라캉의 보로메오 매듭에 대한 설명,『라깡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들』, 루크 서스턴 보로메오 매듭은 상상계(I), 상징계(S), 실재계(R)로 구분되는 인간의 세 가지 심역의 관계를 묘사한 라캉의 도식이다. 이번 글에서는 매듭을 '은유'가 아닌 '구조 그 자체'로, 심지어 '글쓰기'와 동일시하며 높은 만족도를 보여준 그의 생각을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목차 1. 보로메오 매듭은 무엇일까? 2. 보로메오 매듭의 등장 과정 2.1. 1950년대, 수학적 관심의 시작 2.2. 1960년대, 위상학의 도입 2.3. 1970년대, 매듭의 발견 3. 보로메오 매듭의 특성 3.1. 매듭은 메타언어가 아니다 3.2. 매듭은 은유가 아니다 3.3. 매듭은 글쓰기이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동일한 글이 여러 곳에 게시되면 문제가 될 수 있어 원글은 링크로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이 부분 .. 2021. 5.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