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서양철학

1. 고대에서 중세까지의 용기,『존재의 용기』, 폴 틸리히

by ReaDelight 2021. 2. 23.

 

우리는 모두 용기있는 삶을 살기 원한다. 하지만 용기와 만용이라는 범주 사이에서 진정한 용기를 판단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문제다. 소크라테스도 실패했던 용기의 정의를 두고, 신학자이자 철학자인 저자는 그것의 도덕적 측면과 존재론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탐구해 나간다. 이번 글은 놓치고 싶지 않았던 그의 연구를 정리해 본 첫 번째 결과물이다.

 

목차

1. 책의 제목이 '존재의 용기'인 이유

2. 용기에 대한 시대별 해석

   2.1. 고대의 군사적 용기와 그 쇠락

   2.2. 용기의 정의에 실패한 소크라테스

   2.3. 스승의 길을 따른 플라톤

   2.4. 용기를 인간의 본질로 본 아리스토텔레스

   2.5. 완전한 용기, 토마스 아퀴나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동일한 글이 여러 곳에 게시되면 문제가 될 수 있어 원글은 링크로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이 부분 양해 말씀 드리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고맙습니다. :)

 

https://readelight.com/blog/book/christianity/%ec%9a%a9%ea%b8%b0%ec%97%90-%eb%8c%80%ed%95%9c-%ec%b2%a0%ed%95%99%ec%9e%90%eb%93%a4%ec%9d%98-%ec%83%9d%ea%b0%81-%ed%8f%b4-%ed%8b%b8%eb%a6%ac%ed%9e%88/

 

① 용기에 대한 철학자들의 생각 (고대 ~ 중세), 『존재의 용기』, 폴 틸리히 - ReaDelight

용기의 정의를 생각해 보면 일반적으로 두려움을 불러 일으키는 대상을 향해 담대히 나아갈 수 있는 힘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용기가 필요한 이유는 기본적으로 대립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readelight.com

 

댓글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