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서양철학

2. 스토아 철학과 기독교의 차이점 비교,『존재의 용기』, 폴 틸리히

by ReaDelight 2021. 3. 7.

 

저자는 왜 스토아 철학을 '우주적 체념의 사상' 이라고 이야기 했을까? 의연하게 죽음을 받아들였던 소크라테스의 용기를 인용하면서도 말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글은 다른 무엇보다 합리성과 죄의식의 모순된 관계를 진지하게 바라볼 수 있었던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목차

1. 고대에서 중세까지의 용기

2. 보편적 체념의 용기, 스토아 철학

   2.1. 기독교와의 결정적인 차이

   2.2. 스토아 철학의 용기

   2.3. 스토아 철학의 한계

3. 합리성이 죄의식과 연결되기 어려운 이유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동일한 글이 여러 곳에 게시되면 문제가 될 수 있어 원글은 링크로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이 부분 양해 말씀 드리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고맙습니다. :)

 

https://readelight.com/blog/book/christianity/%ec%8a%a4%ed%86%a0%ec%95%84-%ec%b2%a0%ed%95%99%ea%b3%bc-%ea%b8%b0%eb%8f%85%ea%b5%90%ec%9d%98-%ea%b7%bc%eb%b3%b8%ec%a0%81%ec%9d%b8-%ec%b0%a8%ec%9d%b4-%ed%8f%b4-%ed%8b%b8%eb%a6%ac%ed%9e%88/

 

② 스토아 철학과 기독교의 차이 (용기에 대한 철학적 고찰), 『존재의 용기』, 폴 틸리히 - ReaDeli

이전 글에서 소개했던 것처럼 저자는 철학과 신학의 통합, 즉 서구 사상사 (철학) 의 탐구를 통해 자기 학문 (신학) 의 가치를 높인 인물이다. 물론 두 학계 모두에서 인정받는 실력을 갖추고 있

readelight.com

 

댓글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