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을 쓰면서 늘 느끼는거지만 우리는 생각보다 많은 것들을 이미 알고 있는 듯 싶다. 자율적인 배움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처럼 말이다. 하지만 배움과 즐거움을 선뜻 연결시키기 어려운 우리 사회에서는 아는 것을 살아낸다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멈춰있는 앎을 넘어설 수 있는 것은 믿음 뿐이다. 그렇게 저자는 세인트존스의 교육이 앎에서 믿음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이끌어 주었음을 고백하고 있었다.
목차
1. 배움의 즐거움에 대한 서로 다른 태도들
2. 배움을 이끄는 세인트존스의 방법
3. 저자는 대학의 가르침을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같은 글이 중복 게시되면 문제가 될 수 있어 원글을 링크로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부탁 드리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고맙습니다.
고전을 통한 자기 주도 학습법, 『세인트존스의 고전 100권 공부법』, 조한별 - ReaDelight
개인적으로 배움과 성장에 있어 롤 모델로 삼고 싶은 두 주체가 있다. 하나는 유대인이고 다른 하나는 오늘 이야기 할 세인트존스 대학이다. 사실 이 책은 2016년도에 출간되어 읽어 봤었는데, 당
readelight.com
'육아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른들이 독서를 즐기지 않는 이유,「2019년 국민독서실태조사」 (0) | 2020.09.20 |
---|---|
한국의 교육 상태, 정말 괜찮은 걸까? ,『무엇이 이 나라 학생들을 똑똑하게 만드는가』, 아만다 리플리 (0) | 2020.09.12 |
유대인 교육의 핵심 가치관,『유대인 엄마는 장난감을 사지 않는다』, 곽은경 (0) | 2020.08.22 |
질문하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에 대한 조언,『유대인 엄마는 장난감을 사지 않는다』, 곽은경 (0) | 2020.08.15 |
유대인의 가정 교육 배우기, 『13세에 완성되는 유대인 자녀교육』, 홍익희, 조은혜 (0) | 2020.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