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2 1. 고대에서 중세까지의 용기,『존재의 용기』, 폴 틸리히 우리는 모두 용기있는 삶을 살기 원한다. 하지만 용기와 만용이라는 범주 사이에서 진정한 용기를 판단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문제다. 소크라테스도 실패했던 용기의 정의를 두고, 신학자이자 철학자인 저자는 그것의 도덕적 측면과 존재론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탐구해 나간다. 이번 글은 놓치고 싶지 않았던 그의 연구를 정리해 본 첫 번째 결과물이다. 목차 1. 책의 제목이 '존재의 용기'인 이유 2. 용기에 대한 시대별 해석 2.1. 고대의 군사적 용기와 그 쇠락 2.2. 용기의 정의에 실패한 소크라테스 2.3. 스승의 길을 따른 플라톤 2.4. 용기를 인간의 본질로 본 아리스토텔레스 2.5. 완전한 용기, 토마스 아퀴나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동일한 글이 여러 곳에 게시되면 문제가 될 수 있어 원글은.. 2021. 2. 23. 『소크라테스의 변명』인간 소크라테스 이해하기 인간의 성장에 관심을 갖고 있는 나에겐 소크라테스도 예외는 아니었다. 서양철학의 시조를 지혜의 관점이 아닌 주체의 관점으로 바라보게 된 건 그런 이유에서였다. 이성 중심주의를 끝까지 밀어붙인 그의 진리는 오늘날의 관점에서는 분명 부족한 부분이 있겠지만, 시대를 관통하는 '목숨을 건 신념'은 여전히 우리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덕분에 과연 어떻게 그런 주체가 될 수 있었는지 글을 통해 조금이나마 이해해볼 수 있었던, 개인적으로 매우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목차 1. 소크라테스가 추구했던 지혜는 무엇이었을까? 2. 소크라테스가 지혜를 추구하는 삶을 살게 된 이유는? 3. 소크라테스적 주체는 무엇일까? 3.1. 반항에는 본질적인 이유가 있다. 3.2. 스스로를 알 때만 응답할 수 있다. 3.3. 깨달음은 언제나.. 2020. 5. 12. 이전 1 다음